반응형
DNS(Domain Name Server)
CS 2021. 11. 19. 15:44

웹 페이지 접속시 IP주소(192.xx.xxx.x)로 접속한다면 일반 사람들은 접근하기 쉽지 않을 것이다. 그래서 좀 더 쉽게 서비스에 접속하도록 DNS(Domain Name Server)를 사용한다. 예를들어 DNS는 www.diddl.net 처럼 사람이 쉽게 기억하고 읽을 수 있는 주소를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는 IP주소로 변환하여 사용자의 컴퓨터가 서버로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DNS의 구조 인터넷 상의 모든 도메인은 루트라고 하는 도메인 아래 트리 구조로 계층 구조의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www.diddl.co.kr 이라는 주소는 .kr 부터 앞에 있는 도메인들을 순차적으로 각 단계별 서버들을 통해 확인한다. DNS 확인 과정 - 젤 위의 루트 도메인 바로 아래에 ..

Array(배열), Stack(스택), Queue(큐) 에 대해
CS 2021. 11. 11. 18:17

Array(배열)의 특징 - 데이터의 나열, 데이터를 인덱스에 대응하도록 구성 - 같은 종류의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 같은 종류의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저장가능 하다. Array(배열)의 장단점 장점 : 인덱스가 있어 빠른 접근이 가능하다 단점 : - 요소의 추가, 삭제가 쉽지 않다. --> 하나를 지운다면.. 빈공간을 뒤에 있는 요소들을 하나씩 다 당기거나.. 이런식으로 힘들다. - 미리 길이를 지정해야 한다. Stack(스택)의 특징 - LIFO(Last In First Out)구조, 가장 늦게 넣은 데이터를 첫 번째로 꺼낼 수 있는 구조다. 한 쪽 끝에서만 자료를 넣고 뺄 수 있다. 상자에 빗대어 생각하시면 이해하기 쉽다! 세로로 긴상자에 순차적으로 물건을 넣는다면 젤 처음에 넣은 ..

자료구조란?
CS 2021. 11. 11. 17:05

자료구조의 정의 대량의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해주는 "데이터의 구조"입니다. 데이터의 특성에 따라, 체계적인 데이터 구조화가 필요하고 이러한 데이터 구조를 잘 활용한다면 코드의 효율성, 성능을 높일 수 있습니다. 종류 대표적 자료구조로 배열, 스택, 큐, 힙, 링크드 리스트, 해쉬 테이블 등등이 존재합니다! 앞으로의 포스팅에서 하나씩 순차적으로 다뤄보겠습니다. 단순 구조 - 정수, 실수, 문자, 문자열 선형 구조 - 순차 리스트 - 연결 리스트 -> 단순 연결 리스트, 이중 연결 리스트, 원형 연결 리스트 - 스택 - 큐 - 덱 비선형 구조 - 트리 -> 일반 트리, 이진 트리 - 그래프 -> 방향 그래프, 무방향 그래프 파일 구조 - 순차 파일 - 색인 파일 - 직접 파일

2진법 음수 표현, 진법에 대해서
CS 2021. 11. 11. 16:52

비트 연산 기본 개념 컴퓨터는 정보들을 0과 1로 이루어진 "비트"로 이해한다. 즉 2진법을 사용한다 Bit(비트) : 0과 1로만 표현하는 가장 작은 단위 Byte(바이트) : 비트 8개를 하나로 묶은 단뒤 (1바이트 = 2^8 = 256가지 수 표현 가능) 이 외에도 단위는 많다... 단위참고 10진법 -> 2진법 계산 1. 2진법으로 표현하고자 하는 수를 2로 나누어줍니다. 2. 아래에 몫을 적고 옆에는 나머지를 적어줍니다! -> 2로 나누니까 0아니면 1이겠죠 3. 더이상 나눌 수 없을 때까지 이 과정을 반복합니다. 2진법 -> 10진법 계산 가장 오른쪽 자리부터 bit*2^0 + bit*2^1 + bit*2^2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