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자료구조의 정의
대량의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해주는 "데이터의 구조"입니다.
데이터의 특성에 따라, 체계적인 데이터 구조화가 필요하고 이러한 데이터 구조를 잘 활용한다면 코드의 효율성, 성능을 높일 수 있습니다.
종류
대표적 자료구조로 배열, 스택, 큐, 힙, 링크드 리스트, 해쉬 테이블 등등이 존재합니다!
앞으로의 포스팅에서 하나씩 순차적으로 다뤄보겠습니다.
- 단순 구조 - 정수, 실수, 문자, 문자열
- 선형 구조
- 순차 리스트
- 연결 리스트 -> 단순 연결 리스트, 이중 연결 리스트, 원형 연결 리스트
- 스택
- 큐
- 덱 - 비선형 구조
- 트리 -> 일반 트리, 이진 트리
- 그래프 -> 방향 그래프, 무방향 그래프 - 파일 구조
- 순차 파일
- 색인 파일
- 직접 파일
반응형
'CS' 카테고리의 다른 글
DNS(Domain Name Server) (0) | 2021.11.19 |
---|---|
Array(배열), Stack(스택), Queue(큐) 에 대해 (0) | 2021.11.11 |
2진법 음수 표현, 진법에 대해서 (0) | 2021.11.11 |